글로벌 물류 혁신의 리더, CJ대한통운의 인사이트를 만나보세요
Case Study | 시뮬레이션 기반의 물류 네트워크 최적화 | 2017-12-28 |
시뮬레이션 기반의 물류 네트워크 최적화 CJ대한통운이 제안하는 컨설팅을 통한 물류 혁신 사례 김태현 | CJ대한통운 TES융합컨설팅팀(팀장), 컨설팅담당 ![]() 시뮬레이션 기반의 물류 네트워크 최적화 ‘새로운 물류 거점을 어디에 위치 시켜야 하는가?’, ‘현재 운영 중인 물류 거점의 수는 적정한가?’ Supply Chain 내 원활한 물적 흐름(Physical Flow)을 위해 물류 거점의 위치를 선정하거나 적정 수를 결정하는 문제는 물류 서비스 레벨과 운영 원가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전략적 의사결정 요소이다. 주문의 형태와 빈도, 상품과 물동의 특성, 공급처의 위치, 거래처 납품 조건 등 다양한 제약요인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해(解)를 찾아 네트워크 모델을 설계해야 하는 최적화 문제이자 동시에 과거 물동에 대한 대용량 데이터 분석이 필요한 어려운 과정이 수반된다. 복잡하지만 중요한 이 문제를 풀어 낼 방법이 없어 대부분의 기업들은 단순한 분석이나 경험에 의존하거나 동종업계 경쟁사의 현황을 참고해서 판단하는 경우가 많다. ![]() Network Design Structure 기업의 사례 통해 위에 제시한 네트워크 설계 방법론을 활용한 사례를 소개하고자 한다. 물류 네트워크 현황(수도권) 분석 A사의 수도권 물류 네트워크는 공장(1개), 거점(29개), 거래처(1,696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장으로부터 상품을 공급받아 1,696개의 거래처로 배송하기 위해 현재 29개의 거점을 운영하고 있다. 내부적으로 거점 통합에 대한 긍정적인 의견이 있었으나 몇 개의 거점을 어디에 배치하는 것이 최적의 네트워크 모델인지 판단 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 이 문제를 시뮬레이션 방법론을 통해 최적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컨설팅의 핵심 과제였다. ![]() 물류 네트워크 현황 분석 시뮬레이션 방법론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개체들의 특성과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최적의 해(필요 거점 수와 위치)를 찾아야 한다. 최우선으로 네트워크 운영 현장의 현황 분석과 물동량 분석을 통해 비즈니스를 이해하는 과정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네트워크 운영 모델에 대한 시나리오를 설계하고 현실조건 반영을 위한 제약사항(Constraints)을 정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시뮬레이션 수행과 각 각의 시나리오에 대한 평가과정을 통해 최종 결과를 도출하게 된다. 물류 운영 현황 및 이슈 1) 공장 네트워크 시나리오 모델링 및 최적화 시뮬레이션 1) 시뮬레이션 제약조건 정의 ![]() 제약조건을 만족하는 센터 수와 위치 선정 시나리오 평가 및 최적 대안 선정 1) 정량적 평가 ![]() 최적 대안 선정 및 기대효과 분석 물류 네트워크 최적화를 원하는 기업에 대한 조언 우리가 매일 운영하고 있는 Supply Chain은 각 구성요소 간 복잡한 전후관계와 상호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각각의 특성과 이해관계를 고려한 상황에서 특정 영역의 최적화를 추구하는 것은 다양하고 어려운 제약요인들을 함께 반영해야 하는 매우 어려운 문제임에 틀림없다. 이런 어려움으로 인해 장기적인 계획보다는 특정 지역 또는 특정 기능만을 대응하기 위한 부분적인 최적화로 접근하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부분적이고 단기적 대응은 시간이 지나 돌아보면 전체 최적화와는 너무나 동떨어진 모습을 하고 있다. 이번 사례도 그 동안 장기적 마스터플랜보다는 임대 계약이 만료되는 거점을 개별 대응했던 것이 현재의 모습으로 나타난 것이라 판단된다. 거점의 수와 위치 선정 문제, 운송 자원과 Route 문제 등이 물류 영역에서의 대표적인 최적화 영역으로 볼 수 있는데, 단기적이고 개별적인 접근보다는 주문, 제품, 공급처/납품처, 차량 등 Inbound/Outbound 운영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과학적 방법으로 접근하여 사업전략의 중요부분을 차지하는 물류전략 및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 보다 최적의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어야 하겠다. |
TES Insights 더보기
인쇄 최적화를 위한 설정
* Internet Explorer는 [인쇄 미리보기]에서 아래와 같이 설정하셔야 합니다.
1. 필수 항목
- [설정]에서 배경 및 이미지도 인쇄할 수 있도록 체크
2. 선택 항목
- 여백 없음 또는 0으로 설정
- 화면 배율 65% 설정 (추천)